2020년 세계에서 여성들이 가장 많이 걸린 암이 유방암으로 집계되었다. 국내에서도 2018 국가 암 등록 통계를 보면 여성이 걸린 암 중에서 유방암이 가장 많은 발생 비율로 20.5%를 차지하였다. 유방암의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자가진단과 주기적인 병원 검진을 통해 가슴을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유방암의 초기증상과 자가검진, 원인, 치료, 수술 등에 대해서 알아보자

유방암 초기 증상, 원인
유방암의 초기 증상은 없다고 한다. 가슴을 만졌을 때 만져지는 혹이 가장 흔한 증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 유두에서 혈성 또는 맑은 액체가 나오거나 유두 피부가 습진처럼 변해 지속적으로 진물이 나오거나 유두가 함몰되었을 경우 유방암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유방 통증으로 유방암을 의심하여 병원을 찾는 여성들이 많은데 유방통은 유방암보다 생리적 현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90%고 일시적으로 통증이 있다가 자연스럽게 사라진다고 한다. 염증성 유방암은 흔하지는 않지만 피부가 붉게 염증처럼 보인다면 의심해 바야 한다.
앞서 말했듯이 정확한 원인은 없지만 복합적인 요인으로 유방암이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가장 위험요인은 가족력과 유전인자, 높은 유방 치밀도, 조직 검사상의 비정형 증식 소견, 높은 골밀도, 흉부 고용량 방사선 치료 등이 있다. 또 장기간 여성 호르몬에 노출되는 13세 이전의 조기 초경과 55세 이후에 늦은 폐경, 병합된 호르몬 대체 요법 복용 또는 경구 피임약 복용력, 출산력이 없거나 모유수유를 하지 않는 경우, 비만과 과음도 유방암에 발생 요인으로 꼽고 있다.
유방암 자가진단 방법
자가 진단은 폐경 전 여성은 월경 후 1주일 뒤에, 폐경 후 여성은 매달 하루 지정해서 자가 진단을 하는 것이 좋다. 자가진단 방법은 거울 앞에서 정면, 측면을 살피고 팔을 들어서 유방 모양을 관찰해 변화나 함몰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누워서는 유방 전체와 겨드랑이를 쓸 듯이 만져보고 유두를 가볍게 짜서 분비물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도 있다. 유방 측병과 겨드랑이를 만져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자가 진단을 할 때 정상 유방조직과 혹을 감별하기 어렵지만 주기적으로 한다면 변화를 느낄 수 있어 혹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가슴에 혹이 만져 저서 유방암이 아닐까 걱정하는 여성들이 많은데 혹이 만져진다고 해서 다 유방암은 아니다. 혹의 경우 경계가 명확하고 동그랗게 만져지며 잘 움직이는 혹은 양성일 가능성이 높지만 만졌을 때 혹이 딱딱하고 표면이 불규칙하며 주변 조직과 경계가 없이 고정되어 있다면 유방암일 가능성이 있다. 혹이 딱딱하고 고정되어 있다면 병원을 찾아 검사를 시행하고 전문의와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유방암 치료 (ft. 수술)
유방암은 환자의 상태와 암의 병리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치료가 시행된다. 유방암 환자 중 수술이 가능한 환자일 경우 반드시 수술을 하여 치료를 해야 한다. 전식적 치료인 항암 화학치료, 내분비 치료, 표적치료를 통해 유방암의 크기를 줄일 수는 있지만 암세포가 몸에 남아 있으면 다시 재발하거나 전이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수술이 가능하다면 수술을 시행하여 암 조직을 모두 제거하는 것이 좋다.
'★건강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탄고지 식단 음식 / 저탄고지 다이어트 / 저탄고지 장점과 단점 (0) | 2021.05.01 |
---|---|
역류성 식도염 원인과 증상 / 역류성 식도염 좋은 음식, 나쁜음식 (0) | 2021.04.29 |
십자인대 전방 후방 파열 / 십자인대 파열 원인과 증상 / 십자인대 치료와수술 (0) | 2021.04.26 |
임신 중 커피 회 술 (무알코올) 파마 염색 여행 / 태아 DNA선별검사 (NIPT) / 백일해 주사 / 출산휴가 적정시기 (0) | 2021.04.26 |
염증에 좋은 음식 / 암 예방에 좋은 음식 / 염증에 좋은 과일 (0) | 2021.04.25 |
댓글